본문 바로가기

Knowledge/Book

유회승의 퀸 그리고 매슬로의 자아실현

반응형

"(...) We are the champions, my friends. 

And we'll keep on fighting 'til the end.

(...) No time for lowers. 'Cause we are the champions of the world."

(Queen-We are the champions)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의 삶은 어떠할까.

그들은 자신의 인생을 어떠한 의미를 두며 살아가고 있을까.

 

저자는 욕구 5단계설로 유명한 매슬로의 자아실현에 관한 연구를 소개한다.

자아실현과 욕구.

 

매슬로가 소개한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현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각하고 쾌적한 관계를 유지

2) 자연을 비롯해 자신과 타자를 수용
3) 자발성, 단순함, 자연스러움

4) 과제 중심적

5) 초월성 - 프라이버시의 욕구

6) 자율성 - 문화와 환경으로부터의 독립. 능동적 인간

7) 언제나 새로운 인식

8) 신비로운 경험 - 최고의 체험

9) 공동체 의식

10) 대인 관계

11) 민주적인 성격 구조

12) 수단과 목적의 구별, 선악의 구별

13) 철학적이고 악의 없는 유머 감각

14) 창조성

15) 문화에 편승하기를 거부

 

저자는 매슬로가 자아실현적 인간이라고 인정한 사람들은 고립적인 성향을 띠고 있으며, 인맥이 넓지 않다고 설명한다. 이는 우리가 생각하는 성공의 이미지와 다른 점을 지적한다.

 

"매슬로의 고찰에 의하면 성공한 인물들 가운데서도 두드러지는 자아실현형 인간은 오히려 고립 성향이 있고, 극소수 사람들과만 깊은 관계를 유지한다."

소셜미디어와 인간관계 욕구.

 

매슬로의 지적과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에 대하여 저자는 연관하여 생각을 다음과 같이 넓혀간다.

 

"이 매슬로의 지적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점점 '얕고 넓어지는' 우리의 인간관계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한다."

 

"군자의 교제는 물과 같이 담백하여 영원히 변함이 없고, 소인배의 교제는 단 술과 같아 오래가지 못한다. (장자의 산목 편 중.)"

 

장자는 매사를 제대로 판별하지 못하는 소인배의 교제는 단 술처럼 끈적끈적해서 산뜻하지 못하며, 군자의 교제는 물처럼 말고 담백하다고 설파하였다.

 

"군자의 벗은 담백하기에 오래 지속되고 소인배의 벗은 달콤하기에 금세 끝난다. 필연성도 없이 그저 함께 있기 위해 함께 있을 뿐인 교제는 오래지 않아 끝나고 만다."

 

저자는 이를 심리학의 용어인 '공의존'에 비유한다.

공의존.

 

"소인의 교제는 까닭 없이 이루어지므로 자립성이 없다. 서로에게 의존하는 상황이 되어 그 관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질척거리며 사귀는 것이다. '공의존'인 것이다."

 

이 관계에 있는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그를 간호하는 파트너는 알코올 의존증 자체가 서로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라는 사실을 무의식 중에 이해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치유를 바라면서도 문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자는 인간관계로 돌아가, 우리의 '넓고 얕은' 인간관계도 그러하지 않은지 자문해 본다.

표면적으로 타인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내면에는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지 않은가.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들의 깊은 인간관계는 우리가 이상적인 인간관계에 관해 고민해야 함을 말해 준다.

자아실현과 유기체의 성장.

 

"자아실현은 이미 유기체에 존재하는 것, 아니 유기체 내에서 이뤄지는 본질적인 성장이다. (에이브러햄 매슬로)"

 

자아실현을 통하여 실제의 자신과 이상적 자신의 균형을 찾아보는 것도 뜻깊은 일인 것이다.

 

 

We are the champions (노래 : 유회승, 불후의 명곡 중.)

<함께 도움이 된 글>

 

 

자아실현을 위한 구체적 방법

자아실현이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소질과 역량을 스스로 찾아내어 그것을 충분히 발휘하고 계발하여 자기가 목적한 이상을 실현하는 것이다. 사람은 그가 실현할 수 있는 잠재 가능성을 실천하

brunch.co.kr

 

<책 :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11) 리뷰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