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독서의 중요성 (1)
" 결과를 내고 싶다면 평론가가 아니라 실천가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알고 있다'를 '할 수 있다'로 바꿔야 한다. 성과를 올리는 지름길은 당사자가 되어 행동하는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일은 자동차의 구조나 작동 메커니즘을 알기 때문이 아니다.
춤을 추고 노래를 하는 일은 우리의 근육을 이루는 물질이나 호흡의 양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니다.
저자는 경제경영에서도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무리 이론에 정통해도 평론가인 채로 있어서는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머리로 알고 있어서 지식으로 정리할 수는 있지만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평론가에 머물기 쉽다. 비즈니스에서 결과를 내고 싶다면 평론가가 아니라 실천가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알고 있다'를 '할 수 있다'로 바꿔야 한다. 성과를 올리는 지름길은 당사자가 되어 행동하는 것이다."

평론가에서 실천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보를 접하고 어떤 그림을 그려 나가느냐가 중요할 것이다.
저자는 책을 읽는 자세 또한 중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의 경험과 자세를 말해준다.
그곳의 사례에는 기업의 상태가 객관적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 교수나 집필자의 해석, 분석, 결론은 없어 '자문자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이 기업의 최고 경영자라면 어떻게 판단하고 실행에 옮길까."
"당신이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물론 바르게 해석하는 것도 중요한 것이다. 저자는 이에 더하여, 한 가지를 더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그다음의 것'을 생각하고, 예측하는 훈련이 많지 않다는 게 문제다. 특히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자기 의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내가 등장인물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라는 관점으로 사물을 보는 습관이 중요하다."

저자는 독서 노트의 의미에서 평론가와 실천가의 차이를 다시 한번 찾는다.
"대부분 읽은 내용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독서 노트를 작성한다. 즉 책 내용을 요약한 뒤, 인상에 남는 문장 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장을 적어두는 사람이 많다. 실천가는 무엇이 적혀 있었는가 하는 것은 중시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음 단계'에 대해 쓴다. 책을 읽은 다음 '이 책에 쓰여 있는 이론을 지금 내 상황에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를 생각해보고, 자신이 떠올린 '다음 단계와 자기 나름의 결론'을 적어 둔다."
독서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점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을 생각하고 내 상황에 적용하는 연습은 어떤 방향의 길을 가르쳐 줄 것인가.
"스탠퍼드에서도 하버드에서도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은 자기 머리로 생각하는 힘이다. (...) 자기 머리로 생각하지 않고, 모두가 정해진 답을 따라가기만 한다면 혁신은 일어나지 않는다. 혁신은 의견이 서로 부딪히는 와중에 탄생하기 때문이다."

"의견 일치 사회는 사회적 배경이 모두 비슷하고, 비슷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떠 일이든 관계자 전원의 합의가 형성되기 쉬워 만장일치로 결론을 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 하지만 앞으로의 글로벌 사회에서 활약하고 싶다면 자기 머리로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이런 연습을 독서를 통해 할 수 있다. 자신의 현재 상태와 책의 내용을 비교하며 '나라면 어떻게 할까'를 따져가면서 읽으면 된다."
이것이 단순한 요약에서 끝나지 않고 '다음 단계'까지 예상하고 나아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지금 무슨 사례를 읽고 있는가.
나라면 이 사례와 정보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내가 만들어 낸 결과와 그다음 단계는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실행하고 실천할 것인가.
혁신, 창조성을 위한 동기부여로의 예고된 대가_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03)
" 사람이 창조성을 발휘하여 리스크를 무릅쓰고 나아가는 데는 당근도 채찍도 효과가 없다. 다만 자유로운 도전이 허용되는 풍토가 필요하다. 그러한 풍토 속에서 사람이 주저 없이 리스크를 무
1st-da-jung.tistory.com
<책 : 하버드 비즈니스 독서법_하토야마 레히토 리뷰(01)입니다.>
'Knowledge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드, 독서의 중요성 (2) (0) | 2020.12.24 |
---|---|
시작, 배움, 영감. 멘토와 멘토 블로그. (0) | 2020.11.22 |
블로그 콘텐츠, 인스타그램 방문자로 콘텐츠를 유통하라. (0) | 2020.11.22 |
신념과 자기합리화, 리언 페스팅어의 인지 부조화. (0) | 2020.11.21 |
유회승의 퀸 그리고 매슬로의 자아실현 (0) | 2020.11.15 |